본문 바로가기

전체 글276

JSP compile 시에 해당 method 가 65535 bytes 한계를 넘으면서 JSPG0049E 발생 1. WAS 버전 : WebSphere ND v6.1 이상 2. OS : All 3. Error 발생 시점 : JSP 처음으로 실행할 때 compile 중에 Exception 발생 4. Error message : JSPG0049E: /xxxxx/AAA.jsp이(가) 완료 실패 : W:IBM_AAA.java : 891 : The code of method _jspService(HttpServletRequest, HttpServletResponse) is exceeding the 65535 bytes limit 5. 예상 이유 : Java 에서 하나의 Method 의 최대 사이즈는 64K 넘지 말아야 하는 제한이 걸려있습니다. 해당 Exception 은 JSP 가 compile 되면서 해당 제한 조건을 위.. 2016. 5. 9.
DCSV9415W 로그가 SystemOut.log 에 반복적으로 나타남 1. WAS 버전 : WebSphere ND v6.1 2. OS : All 3. Error 발생 시점 : 로그에 DCSV9415W 가 주기적으로 찍힘 4. Error message : DCSV9415W: Received packet larger than configured buffer length 1195986768 from RMM address /x.x.x.x. Exception is 5. 예상 이유 : 서버의 DCS_UNICAST_ENDPOINT port 가 다른 서버의 어떤 Port 와 중복될 경우 6. 조치 방안 : DCS_UNICAST_ENDPOINT port 를 해당 Node 에서 중복되지 않는 port 로 변경해 주어야 함 http://www-01.ibm.com/support/docview... 2016. 5. 9.
ODR 이 응답을 'Transfer-Encoding:chunked' 모드로 전송하기를 원하는 경우 1. WAS 버전 : WebSphere VE v6.1.1 on WAS ND v7.0 2. OS : All 3. Error 발생 시점 : 현 현상이 Error 는 아니고 의도된 동작임 WAS 에서 ODR 로 'Chunked' 형식으로 response 를 보냈는데 이를 ODR 이 client 에 'Content-Length' 형식으로 보냄 4. Error message : 5. 예상 이유 : Performance 를 좋게 하기 위하여 ODR 도 별도의 buffer 를 가지고 있고 WAS 의 응답이 해당 buffer 에 담을 수 있을 정도라면 WAS 의 응답이 'Chunked' 로 왔다고 하여도 'Content-Length' 형식으로 client 에 response 를 보냄 6. 조치 방안 : ODR 의 On.. 2016. 5. 9.
JEUS 와 XA 중에 TAG_CSI_SEC_MECH_LIST 관련 Exception 발생 1. WAS 버전 : WebSphere ND v6.1 2. OS : All 3. Error 발생 시점 : TMax 의 JEUS 에서 XA 로 WebSphere 를 연동하는 경우 (단, WebSphere 에서 보안이 켜져 있고 Cluster 를 사용했을 경우에만 발생) 4. Error message : java.lang.RuntimeException: More than one TAG_CSI_SEC_MECH_LIST tagged component found 5. 예상 이유 : JEUS 제작사에 문의한 결과, JEUS 의 Log 는 인증 서명을 2개 이상 받았을 때 발생하는 메세지라는 답변을 받음 6. 조치 방안 : 관리보안을 켠 상태에서 XA 를 위한 iiop 관련 보안을 disable 하면 보안 문제가 발.. 2016. 5. 9.
JIT Compilation Thread 가 VM class table lock 을 미반환 1. WAS 버전 : WebSphere ND v6.1 2. OS : All 3. Error 발생 시점 : 부하가 있는 중에 갑작스런 GC 증가와 Application hang 현상 발생 4. Error message : 5. 예상 이유 : javacore 를 통한 분석작업을 해보면 위와 같이 JIT Compilation Thread 가 VM class table lock 을 잡은채 release 를 하지 않음 따라서, 다른 많은 Thread 들도 "Waiting for Monitor Lock on VM class table lock" 처럼 lock 을 갖기위해 대기하다가 Block 상태에 빠짐 이는 IBM JDK 5.0 Just In Time (JIT) Compiler 의 버그임. 6. 조치 방안 : ".. 2016. 5. 9.
WAS의 JSession ID 중에 cache ID 가 지속적으로 증가 1. WAS 버전 : WAS ND v6.1 이하 버전 2. OS : All 3. Error 발생 시점 : Session persistence 를 사용하고 동일한 브라우저에 연속해서 여러 웹 어플리케이션에 접속했는데 지속적으로 JSession ID 중에 cache ID 가 증가 4. Error message : JSession ID 가 "0000HHAnbYWnNxGD-iVupvcArfr:14dtuueci" 라면 맨 앞 4자리 "0000" 이 cache ID 5. 예상 이유 : WebSphere 의 구조상의 이슈 6. 조치 방안 : 지속적으로 cache ID 가 증가되어도, 실제적으로는 Session ID 만 활용되므로 운영에는 문제가 없지만 이를 방지하기 원한다면 Fixpack 6.1.0.13 이상이 적용.. 2016. 5. 6.